정리하게 된 사유 : ...서버 개발을 하고 있었는데 이젠 aws 운영 환경도 신경써야한다고 반 강제로 하게 되었다. 공부하면서 정리했던 필기를 정리한다
요즘 일하면서 공부하는게 평소 공부하는 것보다 많은 듯 (사실 공부 안함)
AWS 운영 환경을 구성할 때 알아야 할 용어
AWS Region
- AWS 클라우드 센터가 있는 나라/지역
VPC (Virtual Private Cloud)
- 직역 그대로 "가상의 사설 클라우드"
- 논리적인 AWS Region의 하위 구성
- 사용자가 정의한 aws 계정 전용 가상 네트워크
- 가상의 개념으로 개인/기업 전용으로 대여되는 클라우드
AV (Availability Zone)
- 가용 영역
- 물리적인 AWS Region의 하위 구성
- ex) AWS 서울 Region에는 [서울-Region-a, 서울-Region-b] 과 같이 하나의 Region에서도 여러 지역에 물리적으로 분산을 시켜 놓는다.
Subnet
- VPC 영역의 IP 범위를 칭한다
라우팅 테이블
- 네트워크 트래픽을 전달할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하는 규칙의 집합
EC2 (Elastic Compute Cloud)
- 흔히들 인스턴스Instance 라고 부르는 것이 EC2 Instance다
- 클라우드에 설치, 실행되는 가상 서버
- 기본적으로 생성만 했다면, Subnet 내 IP만 할당되어 외부에선 접근할 수 없다
- "탄력적 IP 할당" 기능을 통해 외부 접근 가능 IP를 발행, 맵핑하여야 외부 접근이 가능하다
인터넷 게이트웨이
- VPC의 리소스와 인터넷 간의 통신을 활성화하기 위해 VPC에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 질럿나옴
AMI (Amazon Machine Image)
- 쉽게 생각하면 컴퓨터에 운영체제 설치할 때 사용하는 ISO 파일이다
- EC2 인스턴스에 설치할 소프트웨어(운영체제)의 설치 이미지 파일이자, 소프트웨어 구성이 기재된 Template이다
- EC2 인스턴스 생성 과정에서 AMI를 선택하는 구간이 있다
AWS EBS (Elastic Block Store)
- 교육방송
- Block 단위로 관리되는 동적 저장 공간
- AWS에서 관리하는 S3에 EBS Volume째로 스냅샷을 백업할 수 있다
- EC2 인스턴스에 저장 공간을 할당할 때 기본값으로 설정하는 저장 방식이다
AWS S3 (Simple Cloud Storage)
- 파일 저장소라고 생각하면 된다
- 나도 이렇게만 알고있다
Route 53
- 도메인 설정 기능
AWS 환경 구성 시 기본 순서 및 구성 방식
AWS Region > VPC > AV > Subnet > EC2 Instance
1) 물리적 근본적 지역을 지정
2) 지역 아래에 사용할 가상 대역(VPC)를 설정
3) 가상 대역에 할당할 Region에 속해있는 데이터 센터(IDC 센터)를 지정
4) 물리적(AV)으로 지정된 것을 VPC 할당을 하여 논리적으로 묶었다면, 이제 논리적 공간(VPC) 내에서 사용할 Subnet(내부 IP)를 구성한다
5) 사설 IP까지 구성이 되었다면, EC2 Instance를 생성할 때 사용할 사설 내부 IP를 할당하여 생성한다
'공부 - 개념, 철학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동기 처리를 한 서버에서 하지 말기 (0) | 2021.08.10 |
---|---|
[nGrinder] 부하 테스트용 툴 적용기 (0) | 2021.02.20 |
[AWS] 멀티에이지 Multi-AZ(Availability Zone) (0) | 2021.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