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n 지시자는 UI에서 사용할 event와 실행할 Vue instance내의 mehtod를 등록한다.

예시 코드를 보면, HTML 구간에 v-on:click="clickMethod" 라고 작성되어있다. 읽는 그대로 click이벤트가 발생을 하면, instanceElement라는 이름의 Vue instance내에 구현된 clickMethod를 호출하겠다는 의미이다.
위 예시는
[button 클릭 -> 클릭 이벤트 실행 -> clickMethod 함수 실행 -> Vue instance내 data "clickConfig"값이 수정]
순서로 실행된다.
최초 페이지 실행 시에는

버튼 하나와 default 값 true로 된 clickConfig가 출력되고 있다. 그리고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clickMethod 함수가 실행되면서 clickConfig의 값이 false로 수정되고, 화면 출력값도 바뀌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 1) 위 예시 코드에서 값을 출력할 때, v-text나 v-html과 같은 출력용 지시자를 사용하지 않았다. 위 방법은 Vue instnace내 data 값을 그대로 출력시키는 방식으로 {{data-key}} 과 같은 방식으로 출력한다.
(참고 2) data의 값이 수정되는 과정은 소스 코드의 동작 상에 있지만, 수정된 값을 HTML에 update하는 과정은 없었다. 이것은 Vue.js의 데이터 관리에 대한 기본 철학이 데이터 양방향 바인딩을 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순수 Javascript로 개발하거나 Jquery로 개발할 때는 단방향 바인딩으로, 데이터의 수정과 HTML로의 수정을 별도로 개발하는 것과 다르게 data의 수정을 통해 바로 수정되도록 하는 것이 Vue.js가 가지는 프레임워크로서의 차별점이다.
'공부 - 언어, 프레임워크 > Vu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Vue.js] 6. v-model과 v-bind를 사용한 데이터 바인딩 (0) | 2020.06.30 |
|---|---|
| [Vue.js] 5. 조건부 출력해보기 (v-show, v-if/else, computed) (0) | 2020.06.12 |
| [Vue.js] 3. Vue Instance 데이터 사용해보기 (v-text, v-html, filter) (0) | 2020.06.11 |
| [Vue.js] 2. Vue Instance와 생명주기 (0) | 2020.06.07 |
| [Vue.js] 1. Vue.js 란 (0) | 2020.06.0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