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 서비스 패턴을 왜?
어렴풋하게는 알지만, 정확하게 혹은 다른 회사는 어떻게 구현했는가를 알고싶었다.
이 책은 모놀리틱 서비스였던 운영 환경을 마이크로 서비스 패턴으로 이관하고 재설계하는 과정을 서술했기에,
마침 딱 읽기 좋겠다고 생각했다.
문제 발생
이제 7장 읽고 있는데 생각보다 내용이 어려움
그리고 생각보다 쓸모없는 내용 많음
다 좋은 내용인건 맞는데 자체 개발한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를 홍보한다는 느낌을 받았음
물론 배울 내용이 많으니까 기본 철학과 개념만 알면 나한테 맞게 어레인지가 가능할 수준임
결론
이 책에서 공부하는 걸 바탕으로 정리는 할 건데 이 책의 내용은 거의 없지않을까 싶음
그리고 이 책 내용을 그대로 긁어서 올린 블로그 많던데 진심인지 모르겠음.
이거 그대로 긁어서 이해하고 맞춰 갈 수 있는 그런 내용이 아닌데 왜 그랬지...
'공부 - 개념, 철학 > 마이크로 서비스 패턴'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A 설계 (DDD 적용 예상 구성) (0) | 2022.04.16 |
---|---|
MSA 최소 설계 (운영 적용) (0) | 2022.04.10 |
2. 이벤트 소싱 기반 비지니스 로직 개발하기 (0) | 2021.08.24 |
1. 마이크로서비스 패턴(MSA)최소 단위 : 애그리거트(aggregate) (0) | 2021.08.16 |